• 최종편집 2025-01-14(화)
 

 

부산광역시 사하구 일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지정을 추진 중인 구역계.

 

부산광역시 일대 최초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지정’을 통한 통합시행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추진되면서 얼어붙은 소규모정비사업 시장을 훈풍을 불어넣을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비업계에 따르면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 1, 2구역과 괴정 2, 3구역 등 4개 가로주택정비사업이 통합시행을 추진 중이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도시계획도로 등으로 둘러싸인 1만㎡ 미만의 정형화된 구역에서 추진할 수 있다. 관리계획 승인·고시가 이뤄진 지역에서는 일정 요건을 갖춘 경우 2만㎡ 미만까지 가능하다. 사업구역은 노후·불량 건축물의 수가 전체 건축물의 3분의 2 이상이며 기존 주택의 수가 20가구 이상(단독주택 10가구 이상)이어야 한다. 구역지정이나 추진위원회 설립 등 일부 절차가 생략돼 사업기간 단축과 사업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만큼 사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사업이 난항을 겪는 사례도 많다.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2021년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개정을 통해 일정 요건을 갖춘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에서 서로 연접한 사업시행구역을 하나의 사업시행구역으로 통합해 추진할 수 있도록 했다.

부산 사하구 당리동 일대는 지난 10월 한국부동산원이 진행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희망 후보지로 지원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물꼬를 트게 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이 과정에서 기초조사와 사업성 분석 등을 지원하고, 주민편의시설과 기반시설 등을 공급하기 위해 통합 시행방식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민들은 통합시행으로 소규모정비사업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업부지의 활용도를 높여 사업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급등한 공사비에 대응할 수 있어 최적의 방안이라는 게 주민들의 의견이다. 게다가 구역 사이에 있는 도로를 대지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추가적인 사업성도 확보하게 됐다.

당리1구역과 괴정2구역은 현재 시공사 선정을 진행 중이며, 오는 1월 13일 시공사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시공사 입찰이 모두 유찰돼 수의계약으로 진행되며, HJ중공업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괴정3구역은 지난달 말 조합설립인가를 받아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당리2구역은 조합설립을 위해 동의서 징구 중이다.

주민들은 이르면 이번 달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을 지정을 위한 관리계획을 접수할 예정이다.

조합 관계자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통합 시행할 경우 사업성 확보와 공사비 절감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도로 일부를 대지로 활용할 수 있게 돼 사업성이 최소 15%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면 부산광역시 1호 사업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그

전체댓글 0

  • 9431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부산 최초 통합시행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