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직방 제공 |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상반기 대비 9%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직방 조사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서울 입주물량은 1만8439가구로 5015가구 입주했던 상반기보다 268%가량 입주물량이 늘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16만4633가구로 15만1191가구 입주한 상반기보다 약 9% 정도 많은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7만9986가구, 지방이 8만4647가구 입주하며 각각 10%, 8%씩 증가한다. 유례없는 대단지 입주로 서울 입주물량 증가폭이 가장 큰 가운데 지방은 대전, 전북, 세종, 울산 순으로 입주물량이 늘 예정이다.
지역별로 올해 하반기 입주물량을 살펴보면, 절대적인 입주물량으로는 경기지역이 가장 많다. 하반기 경기지역 입주물량은 총 4만9421가구로 상반기(5만4081가구)보다는 9%가량 감소한다.
역대급 단지규모를 자랑하는 올림픽파크포레온 영향으로 서울 입주물량이 경기지역 다음으로 많으며, 인천도 6개구 모든 자치구에서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하며 하반기 입주물량이 많은 편이다.
수도권은 대규모 단지의 입주영향으로 올해 하반기 입주물량 상위에 랭크되는 가운데 지방 역시 상당량의 새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경북 1만972가구, 대구 1만711가구, 충남 1만 702가구, 부산 9031가구, 경남 8099가구, 대전 7122가구 순으로 많다.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적체된 상황에서 새 아파트 공급이 지속되고 있어 공급여파에 따른 가격약세가 우려된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방 미분양 물량(2024년 4월 기준)은 5만 7342가구로 전국 미분양 물량의 80%를 차지하고, 미분양 물량도 2개월째 증가하고 있어 미분양 물량 부담이 큰 상황이다.
김민영 직방 빅데이터랩실 매니저는 “수도권 아파트 중심으로 거래량이 늘어 매수심리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전국 입주전망지수 또한 두 달 연속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시그널도 존재해 지방 아파트 시장 분위기가 개선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