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2(화)
 

이달 부산·경남 등 지방에서 전년 동기 대비 2배나 많은 아파트가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그러나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11년 2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계절적 성수기인 3월에도 지방 분양 시장은 침체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2만7,418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수도권 분양 물량은 1만2,417가구, 지방은 1만5,001가구다.


특히 지방 분양 예정 물량은 전년 동월(7,135가구) 대비 2배가량 많다. 지역별로는 부산(3,766가구), 충남(3,001가구), 경남(2,638가구) 등의 순으로 분양 물량이 많다.


이달부터 본격적인 분양 성수기에 접어들지만, 부산·대구 등 지방 분양시장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3월 아파트 분양전망 지수는 전월 대비 2.5포인트(p) 하락한 72.9로 나타났다. 지방은 전월 대비 2.3p 하락한 72.8을 기록했다.


분양시장 전망 악화에는 미분양 주택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통계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2,451호(3.5%) 증가한 7만2,624호로 집계됐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1,392호(6.5%) 증가한 2만2,872호로 집계됐다. 이는 2013년 11월(2만2,227호) 이후 11년 2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앞으로 미분양 주택이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커졌다. 이달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0.8p 상승한 114.3으로 나타났다.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1월 102.8, 2월 113.5, 3월 114.3 등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줍줍에도 수만명이 몰리는 서울을 비롯한 일부 수도권과 달리 부산·대구 등 지방 분양시장은 할인분양 등의 자구책에도 지역 내 쌓여 있는 미분양 해소가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시장 불안 가능성이 여전한 만큼 물량이 집중되는 부산, 경남, 대구 등지까지 청약 온기가 기대만큼 확산되기는 힘들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가 지방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난달 19일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발표했지만, 업계에서는 추가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이에 따라,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매입 물량 확대, 지방 스트레스 DSR 3단계 적용 유예, 디딤돌 대출 우대금리 확대 적용, 제2금융권 대출시 중소업체 보증가능 기준 완화,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등록임대 허용·개발부담금 한시 감면법안의 조속 처리 등의 후속 조치를 건의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8658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부산·경남 등 지방, 3월 아파트 분양 물량 전년比 2배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